조선의 무사들, 무예24기 최형국 박사 [인터뷰]

기사입력 2016.07.19 17:03 조회수 18,247

위 URL을 길게 누르면 복사하실 수 있습니다.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 카카카오스토리로 보내기
  • URL 복사하기
  • 기사내용 프린트
  • 기사 스크랩
  • 기사 내용 글자 크게
  • 기사 내용 글자 작게


무예24기는 조선 정조 때의 관군이 익혔던 24가지 궁중 기예를 일컫는 것이며 각 기예에 대한 자세한 내용이 당시 발간된 무예도보통지(武藝圖譜通志, 1790)에 그림과 함께 실려 있어 오늘날까지 전해 내려오고 있다.


무예24기는 총 1026개의 다양한 동작과 무기를 갖추고 있어 무예 운용의 변화가 무쌍하며 크고 간결한 멋과 호쾌함을 가지고 있다. 그 형성 과정을 살펴보면 기존의 관군 무술이 임진왜란과 병자호란이라는 실전적 전투 경험을 통하여 검증되고 재창조 되는 과정에서 형성되었으며 한중일 동양 삼국 무예의 정수를 모아 정립될 수 있었다. 무예도보통지에 수록되어 있는 24가지 기술을 나열하면, 장창(長槍), 죽장창(竹長槍), 기창(旗槍), 당파(鏜鈀), 기창(騎槍), 낭선(狼筅), 쌍수도(雙手刀), 예도(銳刀), 왜검(倭劍), 교전(交戰), 제독검(提督劍), 본국검(本國劍), 쌍검(雙劍), 마상쌍검(馬上雙劍), 월도(月刀), 마상월도(馬上月刀), 협도(挾刀), 등패(藤牌), 권법(拳法), 곤방(棍棒), 편곤(鞭棍), 마상편곤(馬上鞭棍), 격구(擊球), 마상재(馬上才)이다. 각 무술에서 사용하는 무기와 권법 등을 기준으로 구분되어 있다. 


최형국박사는 올해 6번째 책도 편찬했다. 조선의 무인은 어떻게 싸웠을까? 제목으로 사극 속에서 반복되는 군사사와 무예사 오류를 지적한 책이다. 고증 오류를 지적하고 실제 있었을 모습과 상황을 제안하며, 사극의 고증 문제를 극복할 방법을 제시한다. 활과 환도, 당파처럼 사극에 자주 등장하는 만큼 잘못 그려지고 있는 무기류부터 갑옷과 투구의 모습과 착용법, 전투마와 마구, 전술과 지휘 체계, 조선 군사들의 훈련 모습과 전투 시 움직임까지 무예사와 군사사에 관련해 폭넓게 고증했다.


 최형국 박사는 " 무예는 밥과도 같은 존재이다. 하루세끼 꼬박 수련해야되고 안하면 배고프다. 자본주의 시장에서의 무예를 하기위해 무예의 상품가치를 높이고 싶었다. 무예에 대한 새로운 패러다임이 필요한 것 같다. 앞으로 무예를 다양한 장르와 접목시킨 실험적인 무예 콘텐츠를 개발하고 대중에게 알리고 싶다.라고 포부를 밝혔다.


네이버연계기사 : http://blog.naver.com/ggartdaily/220766168939


[오창원 기자 ]

위 URL을 길게 누르면 복사하실 수 있습니다.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 카카카오스토리로 보내기
  • URL 복사하기
<저작권자ⓒ경기문화예술신문 & www.artdaily.or.kr 무단전재-재배포금지>
 
신문사소개 | 광고안내 | 제휴·광고문의 | 기사제보 | 다이렉트결제 | 고객센터 | 저작권정책 | 개인정보취급방침 | 청소년보호정책 | 독자권익보호위원회 | 이메일주소무단수집거부 | RSS top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